캐드정보64 오토캐드 기초 끊기(Break) 설계 도면에는 많은 객체가 있고 객체들 중에 상당수가 기본적으로 선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끊기(Break) 명령어는 도면에 있는 선들을 끊는 기능입니다. 끊기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적어봤습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끊기(Break) 본 블로그에 있는 이전 글을 보시면 자르기(Trim)라는 명령어를 다룬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Break라는 명령어도 자르기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Break는 자르기가 아니라 끊기입니다. 자르기와 헷갈리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래의 설명에 교차점 또는 근처점과 같은 오스냅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오스냅에 대해서 잘 모르신다면 본 블로그에서 '오스냅'을 검색하시면 자세하게 다룬 글이 있습니다. 오스냅.. 2021. 5. 28. 오토캐드 기초 연장하기(Extend) 오토캐드로 설계 도면을 작성할 때 선 또는 다른 어떤 객체의 길이가 짧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 연장하기(Extend)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연장하기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연장하기(Extend) 본 블로그에서 오토캐드의 다른 명령어인 자르기(Trim)에 대해서 다룬 적이 있습니다. 연장하기는 자르기의 반대가 되는 기능으로서 자르기와 함께 취급됩니다. 연장하기도 자르기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객체에 적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하지만 이 글의 취지는 오토캐드의 기초를 이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선을 예로 들어서 기본적인 개념만 다루겠습니다. 작동 원리 연장하기 명령이 실행되는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자르기와 같습니다. 객체의 정점을 기준으로 실행됩니다. 오토캐.. 2021. 5. 28. 오토캐드 기초 고도 맞추기 두 번째 방법 (Change) 오토캐드로 작업한 설계 도면에는 많은 객체들이 있습니다. 각각의 객체들은 여러 가지의 특성을 가집니다. 고도는 객체의 여러 특성 중에서 설계 작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특성입니다. Change라는 명령어를 통해 객체들의 고도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적어봤습니다. 고도 맞추기 두 번째 방법 (Change) 본 블로그의 다른 글에서 오토캐드의 객체들이 가지는 고도에 대해 다룬 적이 있습니다. 객체들의 각기 다른 고도 때문에 상호작용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에 Flatten이라는 명령어를 이용한다고 했었습니다. 이 명령어로 객체들의 고도를 0으로 맞춰줄 수 있습니다. 객체들의 고도를 하나로 맞추는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Change 명령어를 이용하시면 Flatten과 같이 객체들의 고도를 하나로 맞춰줄 수 .. 2021. 5. 27. 오토캐드 기초 고도 맞추기 또는 평탄화 (Flatten) Flatten 명령은 오토캐드에서 작업자가 선택한 모든 객체들이 가지는 고도를 0으로 맞춰주는 명령어입니다. 명령어의 이름을 특정 짓자면 '평탄화'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이 명령어에 대해서 간단하게 적어봤습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고도 맞추기 또는 평탄화 (Flatten) 오토캐드를 이용해서 도면 작업을 하다 보면 객체의 고도 때문에 작업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합치기(Join)나 자르기(Trim) 등의 기본적인 명령어를 사용할 때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런 명령어들의 공통점은 명령어가 적용되는 객체들 간에 상호작용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고도가 다르면 이 객체들이 상호작용을 못하게 되고 명령어가 적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오토캐드를 다룬 지 얼마 안 된 사.. 2021. 5. 27. 오토캐드 기초 자르기(Trim) 자르기(Trim)는 오토캐드의 기본적인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자르기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적어봤습니다. 자르기 명령을 처음 사용하시는 경우에 명령이 실행되지 않는 이유도 함께 적었습니다. 오토캐드를 배우고 계신 분이라면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자르기(Trim) 설계직 종사자들은 오토캐드를 이용합니다. 오토캐드의 다양한 객체들을 이용해서 도면을 표현합니다. 모든 작업자는 사람이기 때문에 도면을 작성하다 보면 분명히 실수가 발생합니다. 그럴 때에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습니다. 자르기는 도면상의 많은 객체 중에 선 또는 폴리선, 호, 해치 등의 객체를 편집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외에 다른 객체에도 통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들은 특정 분야에서 일.. 2021. 5. 27. 오토캐드 선택 미리보기 설정 오토캐드로 작업한 설계 도면에는 수많은 객체가 있습니다. 도면 작업을 할 때 그 많은 객체 중에 내가 원하는 객체를 제대로 선택하기 위해서 선택 미리보기 설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선택 미리보기를 설정하는 방법과 함께 아주 간단한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선택 미리보기 오토캐드의 옵션에서 설정할 수 있는 기본적인 설정입니다. 선택 미리보기를 설정한 후에는 내가 선택하려고 하는 객체가 깜빡임 등의 효과로 화면에 표시됩니다. 이것은 오토캐드를 아직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그리고 객체가 많고 복잡한 도면일수록 더욱 유용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도면을 작업하는 중에 오토캐드가 선택 미리보기라는 명령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깜빡임 등의 시각적인 효과까지 나타내야 합니다... 2021. 5. 25. 오토캐드 명령어 입력이 빨라지는 방법 설계 회사의 직원들은 오토캐드를 다룹니다. 각 직원들의 경력이나 또는 타고난 손가락의 속도에 따라서 작업 속도도 달라집니다. 도면 작업 속도를 조금이나마 빨라지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오토캐드 명령어 입력이 빨라지는 방법 본 블로그의 다른 글에서도 비슷하게 다뤘던 내용입니다. 본 블로그에서 '속도'라고 검색하시면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 글에서 작업 속도를 높이는 실질적인 방법을 다뤘다면 이 글에서는 약간의 팁을 가져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설계 업무를 하다 보면 오래 일한 사람들은 신기하게도 작업 속도가 빠릅니다. 팀장 이상의 사람들이 그렇습니다. 나이가 많기 때문에 손가락 자체의 속도는 분명히 내가 더 빠를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이 사람들의 작업.. 2021. 5. 24. 오토캐드 기초 그립 크기 설정 오토캐드로 도면 작업을 하면 그립을 많이 보게 됩니다. 그립은 설계직에 종사하고 도면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개념입니다. 그립과 그립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읽어보시고 업무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그립 그립은 말 그대로 그립(Grip : 손잡이)입니다. 오토캐드 상에서 표현된 모든 객체에는 그립이 있습니다. 객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이동(Move)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그립은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마우스로 클릭하는 것만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그립을 한 번에 하나만 움직일 수 있습니다. 폴리선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폴리선에서의 그립은 정점이라고도 합니다. 임의의 모양을 가진 폴리선을 그렸습니다. 이 폴.. 2021. 5. 24.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