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캐드정보

오토캐드 자동 저장 파일 위치, 복구하기

by ★☆☆☆ 2021. 5. 21.

오토캐드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대비해 자동 저장을 설정했지만 막상 저장된 파일을 찾지 못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서 자동 저장된 파일의 위치와 이 파일을 이용해서 작업한 내용을 복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오토캐드에서 자동 저장을 설정하신 적이 없다면 먼저 옵션에서 설정부터 하셔야 됩니다. 이 글의 내용은 자동 저장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본 블로그에서 '자동 저장'을 검색하시면 자동 저장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된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동 저장 파일 위치, 복구하기

모든 설계직에 종사하시는 실무자들은 항상 바쁩니다. 오토캐드의 도면 파일이 자동으로 저장되는 위치를 외울 필요도 없고 외울 수도 없습니다. 하지만 오토캐드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작업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찾는 방법 정도는 알고 계시는 게 좋습니다.

 

위치를 찾는 것은 간단합니다. 파일을 찾았다면 그 파일로 곧바로 본인이 작업했던 것을 복구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설명을 읽어보시고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방법에 대한 설명은 윈도 10을 기준으로 합니다.

 

 

  • 자동 저장 파일 위치

먼저, 오토캐드의 작업창에서 '옵션'을 불러옵니다. 옵션의 단축키는 OP입니다. 첫 번째에 있는 '파일'이라는 탭을 선택합니다. 아래에 나오는 경로 중에서 '자동 저장 파일 위치'라는 것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바로 밑에 경로가 나옵니다. 이 경로를 복사합니다. 그리고 윈도에서 '파일 탐색기'를 실행합니다. 파일 탐색기의 '주소 표시줄'에 복사한 위치를 붙여 넣기 합니다.

 

 

  • 자동 저장 파일 복구하기

위의 방법으로 자동 저장된 파일의 위치를 찾았습니다. 그러면 이제 파일을 복구해야 합니다. 자동 저장된 파일의 이름은 본인이 작업하던 파일의 이름과 같습니다. 확장자는 'sv$'입니다. 확장자가 특이하기 때문에 찾는 게 어렵지는 않을 겁니다. 확장자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파일 탐색기 상단의 메뉴에서 '보기'를 선택합니다. 아래에 나오는 '파일 확장명'이라는 옵션에 체크를 하시면 파일들의 확장자가 표시됩니다. 자동 저장 파일을 찾으셨으면 그 파일의 확장자만 'dwg'로 바꾸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