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실업급여 조건, 신청방법 초간단!

by ★☆☆☆ 2021. 4. 21.

실업급여를 받고 싶어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실업급여 조건과 실업급여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고용보험 홈페이지의 내용보다는 이해하기 쉽도록 간략하게 정리해봤습니다. 더 정확하고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는 분은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란?

직장인이 회사를 그만둔 후, 몇몇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지급하는 급여입니다. 실업자의 생계유지와 재취업을 위해서 일정 금액을 매월 지원해줍니다. 적은 금액이지만 집에서 쉬고 있어도 월급을 받는다는 얘깁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빨리 재취업을 하시거나 다른 일을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종류별 실업급여 조건

대표적으로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이 있습니다. 보통 사람들이 실업급여라고 얘기하는 것이 이 두 가지입니다. 이 외에도 상병급여, 훈련연장급여, 개별연장급여, 특별연장급여가 있습니다. 이 경우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생략했습니다. 이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 구직급여
    • 퇴사 전 1년 6개월의 기간 중에 6개월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합니다. 대부분 회사들은 4대 보험이 적용되기 때문에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는 것은 쉽게 말해서 일을 했다는 얘깁니다.
    • 일을 하겠다는 의사와 능력이 있어야합니다.
    • 회사에 지원 이력서를 넣는다던지 면접을 보는 등의 재취업을 위한 꾸준한 노력을 해야 합니다.
    • 고용보험 홈페이지 상에는 자진퇴사이거나 회사에 큰 피해를 입혀서 해고당한 경우에는 받을 수 없다고 나옵니다. 하지만 퇴사할 때 회사 측에 실업급여를 받을 거라고 얘기하시면 회사에 막대한 손해를 입힌 게 아닌 이상은 웬만하면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줍니다.
    • 퇴사 후 12개월이 지나면 구직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 취업촉진수당
    • 조기재취업수당 : 예를 들어 구직급여를 받는 총일수가 100일이라면 50일 이상 남겨둔 상태에서 조기에 재취업을 성공하고, 그 회사에서 1년 이상 일하면 받을 수 있는 수당입니다. 설명만 봤을 때는 무조건 빨리 취업하는 게 좋을 것 같지만 1년 이상 일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회사를 잘 보고 선택하시는 게 좋습니다.
    • 광역구직활동비 : 집에서 25km 이상 떨어진 곳에 구직활동을 하는 경우에 받는 수당입니다. 수당을 받는 것도 좋지만 기본적으로 직장은 최대한 집과 가까운 곳에 구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이 외에 직업능력개발수당과 이주비가 있습니다. 이 두 가지는 특별한 경우이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실업급여 신청방법

  1. 워크넷에 구직신청을 합니다.
  2. 고용센터에 방문하시거나 온라인으로 수급자격인정 신청 교육을 받습니다.
  3. 수급자격인정 신청을 합니다.
  4. 수급자격이 인정되지 않으면 재심사를 받으시고, 인정되면 구직급여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댓글